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139)
97번 징수법 제5조(보험가입자), 제11조(보험관계의 신고), 제12조(보험관계의 변경신고), 시행령 제9조(보험관계의 변경신고) 97.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령상 보험관계의 성립 및 소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근로복지공단의 승인을 받아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 ② 일괄적용사업의 사업주는 사업의 개시일부터 14일 이내에 끝나는 사업의 경우에는 그 끝나는 날의 다음 날까지 개시 및 종료 사실을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하여야 한다. ③ 고용보험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사업의 사업주가 고용보험에 가입된 경우 그 보험계약을 해지할 때에는 미리 근로복지공단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④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업주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건설사업의 경우 사업의 기간이 변경되면 그 변경된 날부터 14일 이내에 그 변경사항을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하여야..
96번 징수법 제18조(보험료율의 인상 또는 인하 등에 따른 조치) 96.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상 보험료율의 인상 또는 인하 등에 따른 조치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ㄱ )은 보험료율이 인상 또는 인하된 때에는 월별보험료 및 개산보험료를 증액 또는 감액 조정하고, 월별보험료가 증액된 때에는 ( ㄴ )이, 개산보험료가 증액된 때에는 ( ㄷ )이 각각 징수한다. ① ㄱ: 근로복지공단, ㄴ: 국민건강보험공단, ㄷ: 근로복지공단 ② ㄱ: 근로복지공단, ㄴ: 근로복지공단, ㄷ: 국민건강보험공단 ③ ㄱ: 근로복지공단, ㄴ: 근로복지공단, ㄷ: 근로복지공단 ④ ㄱ: 국민건강보험공단, ㄴ: 근로복지공단, ㄷ: 국민건강보험공단 ⑤ ㄱ: 국민건강보험공단, ㄴ: 국민건강보험공단, ㄷ: 근로복지공단 관련 조문 제18조(보험..
95번 건강법 제6조(가입자의 종류), 시행령 제9조(직장가입자에서 제외되는 사람) 95. 국민건강보험법령상 직장가입자 제외자에 해당하는 자를 모두 고른 것은? ㄱ. 고용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 ㄴ. 1개월 동안의 소정(所定)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ㄷ.「병역법」에 따른 군간부후보생 ㄹ. 선거에 당선되어 취임하는 공무원으로서 매월 보수 또는 보수에 준하는 급료를 받지 아니하는 사람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관련 조문 제6조(가입자의 종류) ① 가입자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한다. ②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 및 사용자와 공무원 및 교직원은 직장가입자가 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제외한다. 1. 고용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 2. 「병역법」에 따른 현역병(지원에 의하..
94번 건강법 제70조(보수월액), 시행령 제33조(보수에 포함되는 금품 등) 94. 국민건강보험법령상 보수월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장가입자의 보수월액은 직장가입자가 지급받는 보수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② 휴직으로 보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지급되지 아니하는 가입자의 보수월액보험료는 해당 사유가 생기기 전 달의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③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금품 중 퇴직금은 보수에서 제외 한다. ④ 보수의 전부 또는 일부가 현물(現物)로 지급되는 경우에는 그 지역의 시가(時價)를 기준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정하는 가액(價額)을 그에 해당하는 보수로 본다. ⑤ 보수 관련 자료가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에 해당하면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을 보수로 본다. 관련 조문 제70조(보수월액) ① 제69조제4항제1호에 따른 직장..
93번 연금법 제7조(가입자의 종류), 제10조(임의가입자), 제11조(가입자 자격의 취득 시기), 제20조(가입기간의 합산) 93. 국민연금법상 국민연금가입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입자는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로 구분한다. ② 임의가입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연금공단에 신청하여 탈퇴할 수 있다. ③ 가입자의 가입 종류가 변동되면 그 가입자의 가입기간은 각 종류별 가입기간을 합산한 기간으로 한다. ④ 가입자의 자격을 상실한 후 다시 그 자격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전후(前後)의 가입기간을 합산한다. ⑤ 임의가입자는 가입 신청을 한 날에 자격을 취득한다. 관련 조문 제7조(가입자의 종류) 가입자는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로 구분한다. 제10조(임의가입자)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외의 자로서 18세 이상 60세 미만..
92번 연금법 제49조(급여의 종류), 제58조(수급권 보호), 제60조(조세와 그 밖의 공과금 면제), 제70조(장애연금액의 변경 등), 제76조(유족연금의 지급 정지) 92. 국민연금법상 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급여는 노령연금과 장애연금 두 종류로 나뉜다. ② 급여수급전용계좌에 입금된 급여와 이에 관한 채권은 압류할 수 있다. ③ 급여로 지급된 금액에 대하여는「조세특례제한법」이나 그 밖의 법률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 그 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과금을 감면할 수 없다. ④ 국민연금공단은 장애연금 수급권자의 장애 정도를 심사하여 장애등급에 해당되지 아니하면 장애연금액을 변경한다. ⑤ 자녀인 수급권자가 다른 사람에게 입양된 때에는 그에 해당하게 된 때부터 유족연금의 지급을 정지한다. 관련 조문 제49조(급여의 종류) 이 법에 따른 급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노령연금 2. 장애연금 3. 유족연금 4. 반환일시금 제58..
91번 산재법 제54조(저소득 근로자의 휴업급여) 91.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산정된 저소득 근로자의 휴업급여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이 최저 보상기준 금액의 100분의 ( ㄱ )보다 적거나 같으면 그 근로자에 대하여는 평균임금의 100분의 ( ㄴ )에 상당하는 금액을 1일당 휴업급여 지급액으로 한다. 다만, 그 근로자의 평균임금의 100분의 ( ㄴ )에 상당하는 금액이 최저 보상기준 금액의 100분의 ( ㄱ )보다 많은 경우에는 최저 보상기준 금액의 100분의 ( ㄱ )에 상당하는 금액을 1일당 휴업급여지급액으로 한다. ① ㄱ: 70, ㄴ: 70 ② ㄱ: 70, ㄴ: 80 ③ ㄱ: 80, ㄴ: 80 ④ ㄱ: 80, ㄴ: 90 ⑤ ㄱ: 90, ㄴ: 90 관련 조문 제54조(저소득 근로자의 휴업급여)..
90번 산재법 제37조(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 90.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상 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에 해당하는 사유가 아닌 것은? ①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를 하던 중 발생한 사고 ② 사업주의 구체적인 지시를 위반한 행위로 인한 사고 ③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이용하던 중 그 시설물 등의 결함이나 관리소홀로 발생한 사고 ④ 사업주가 주관하거나 사업주의 지시에 따라 참여한 행사나 행사준비 중에 발생한 사고 ⑤ 휴게시간 중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볼 수 있는 행위로 발생한 사고 관련 조문 제37조(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 ①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부상ㆍ질병 또는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하면 업무상의 재해로 본다. 다만,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는 경우에는 ..

728x90
반응형